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페이스X 와 스타링크
    카테고리 없음 2023. 11. 3. 23:51

     

    최근 스페이스X의 일론머스크가 위성인터넷 사업체인 '스타링크'가 수익을 창출 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IPO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데, 과연 스타링크는 무엇을 하는 기업일까요?

     

    스페이스X는 2002년 일론 머스크에 의해 설립된  미국의 우주탐사 전문 기업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우주 개발이 인류의 미래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스페이스X를 설립했습니다. 스페이스X의 목표는 우주 개발의 비용을 낮추고, 우주여행을 대중화 하는것입니다. 사실 일론 머스크는 인류의 화성 이주를 주장 한 대표인사중 한명입니다. 사실 그가 벌이는 많은 사업들이 화성 테라포밍을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죠. 스페이스X나 테슬라의 전기차등이 화성에서 살아가기위해 필요한 것을들 사업화 한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스페이스X의 주요 사업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민간우주 발사체 개발

     - 우주정거정(ISS) 화물 및 우주 비행사 수송

     - 저궤도 위성 통신망 사업(스타링크)

     

    그중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통신만 사업인 스타링크는 기존의 위성 통신망과 유선 또는 셀룰러 통신과의 한계를 극복하며 지구 전역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의 대규모 비전 중 하나로, 2030년 전후까지 1세대 위성 12,000 대와 2세대 위성 30,000 대를 발사해 최대 1Gbps의 속도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 위성 통신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스타링크는 혁신적인 방식을 사용합니다. 스타링크의 핵심 아이디어는 지구 저궤도(1,500km 이하)에 위성을 배치하는 것인데, 그로인해 통신 거리가 짧아져 지연 시간이 감소하고 통신 속도가 향상되는 것이죠. 또한, 이런 저궤도 위성은 안테나를 작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전 세계를 커버하려면 많은 수의 위성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긴합니다. 스타링크는 1세대 12,000 대와 2세대 30,000 대로 총 42,000 대의 위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를 사용하려면 특별한 안테나가 필요합니다. 이 안테나는 위상배열 방식을 사용하며, 위성을 빠르게 추적하기에 용이합니다. 사용자는 안테나를 설치하고 모뎀, 와이파이 라우터와 연결한 후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위성을 동적으로 추적하므로 사용자가 지구 어디에서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초기에는 지정된 주소 반경 내에서만 사용 가능했지만, 항공기, 선박, 대형 트럭 및 RV와 같은 대형 이동통신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T-Mobile과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폰 내장 안테나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스타링크 위성 안테나

     

    스타링크는 안테나와 월 통신 요금을 통해 이용됩니다. 현재는 하드웨어 비용이 600 달러이며, 월 통신 요금은 110 달러입니다. 스타링크는 미래에 가격을 더 낮추기 위한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항공기와 다른 운송수단에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JSX와의 협력을 통해 항공기 내에서 스타링크를 통한 기내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협업은 미래에 더 많은 항공사 및 운송수단에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타링크는 현재는 주로 미국 내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미래에는 더 많은 지역과 분야에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타링크의 지속적인 개발과 혁신은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은 사용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며, 이로써 미래에는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타링크와 SK텔레콤이 손을 잡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준비중인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올 해 안으로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조만간 우리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될것으로 기대됩니다.

Designed by Tistory.